(리더십 교육에서 ' 경청 ' 이 소통의 중요한 방법이라고 배운 박팀장은 홍길동 사원과의 대화에서 ' 경청 ' 을 실행하는데..)
박팀장 : 아 ! 왔어요 홍길동씨 ? 여기 앉아요
홍사원 : 네 . 네 !
박팀장 :이렇게 오라고 한 건 다름이 아니라 지난번 제출한 프로젝트 보고서 때문이에요
홍사원 : 아 .. 네
박팀장 : 홍사원의 이야기를 조금 더 들어봐야 할 것 같아서요 .
제출한 보고서의 내용 중 A 건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해줄 수 있겠어요 ?
홍사원 : 네 .. A 건의 경운 @#$%@@....
( 숨을 들이키는 타이밍에 맞추어 )
박팀장 : 아 .. 홍사원 ! 내 생각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 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 말이야
사실 #@#$ 해서 !@#......
홍사원 : 네 .. 네 .... 네 ....
박팀장 : 음 그래요 .. 그럼 그렇게 변경하는 것으로 하고 진행하죠
홍사원 : 네 ..
박팀장 : 그럼 고생하고 .. 가서 일 봐요 ^^
홍사원 : 네 .. 네 ..
위 상황에서 홍사원이 느낀 감정은 ' 소통 ' 일까 ? ' 불통 ' 일까 ?
" 어떻게 하면 소통을 잘 이루어 낼 것인가 ?" 의 고민에 대한 해답 중
한 가지로 제시되고 있는 경청 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 경청 ] 傾 : 기울어질 ' 경 ' / 聽 : 들을 ' 청 '
' 귀 기울여 듣는다 ' 는 의미의 ' 경청 ' 에 대하여 국제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Gary Copeland 가 정의한
경청의 5 가지 단계를 미국의 박사이자 마스터코치 (MCC) 로 활동하고 있는 Lynn Banis 는 아래와 같이 재정의 하였다
첫 번째 단계 : 발언 기회 포착
경청의 단계 중 가장 낮은 단계로 청자가 화자의 이야기를 듣는 모습 ( 경청 ) 을 취하고 있으나 본인이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타이밍을 찾는 데에만 관심을 갖고 있을 뿐 화자의 이야기에는 관심을 갖고 있지 않으며 화자의 주제와 청자의 주제에 연관성이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두 번째 단계 : 경험담 제시 기회 포착
아직 경청이라 할 수 없는 단계로 화자의 내용과 연관된 청자 스스로가 경험한 내용을 ( 경험담 ) 화자에게 이야기 해줄 타이밍을 보고 있는 단계로 들으려 하기 보다는 ' 말하려 ' 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 상황이기에 경청이라 하기 어렵다 .
세 번째 단계 : 조언 기회 포착
마찬가지로 경청인 듯 보이나 경청이 아닌 단계로 화자의 주제에 대하여는 공감하고 있으나 화자가 원하지 않는 조언을 해주기 위한 기회를 포착하기 위하여 귀를 귀기울이고 있는 단계를 의미한다 .
역시 경청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경청이라 하기 어렵다 .
네 번째 단계 : 추가적인 정보의 탐색
진정한 경청이라 할 수 있는 단계로 화자의 이야기를 듣던 중 추가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질문을 통해 추가정보를 탐색하며 대화를 이어가는 단계이다 .
다섯 번째 : 속마음 이해
경청의 단계 중 가장 최고의 단계로 화자가 정말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속마음을 알아내어 공감하고 들어주는 것으로 많은 관심을 갖고 노력해야만 실현해 낼 수 있는 어려운 단계에 속한다
--------------
대화의 장면에서 소통이 이루어 지지 않았던 경험을 돌이켜 보면 사람들은 경청의 네 , 다섯 번째 단계를 상대방에게 요구하고 있지만 서로 첫 번째와 두 , 세번 째 단계의 경청을 하고 있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끝내 대화를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거나 자신의 이야기만 주장하는 대화가 되어버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소통을 위해서 경청이 중요하며 ' 귀를 기울이는 모습 ' 이 경청의 전부라 잘 못 알고 있음으로 인해 열심히 경청하는 듯 보이지만
기대하는 수준 만큼 소통이 일어나지 않기에 소통이 안 된다 외치고 있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는 듯 하다 .
즉 경청인 척하는 딴청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
조직이나 가정을 리드하는 과정 중 소통이 필요한 상황에서 올바르게 소통을 이루어 낼 수 있기 위해서는 리더 ( 부모 )에게 높은 수준의 경청을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퍼실리테이터의 경우 회의의 참여자들의 감추어졌거나 무의식 속에 있는 다양한 의견들을 도출해 내어야 하기 때문에 리더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의 경청역량을 필요로 하고 있다 .
경청 역량의 향상은 경청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에서 부터 시작되기에
이 글을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모두 높은 경청을 이루어 내실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
[References]
Lynn Banis 의 아티클
http://ezinearticles.com/?The-Five-Levels-of-Listening&id=5115474
'퍼실리테이션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쿠퍼메시지 012호 : 인터뷰는 퍼실리테이션의 시작과 끝이다 (0) | 2016.01.25 |
---|---|
퍼실리테이터의 역량 목록 (2015년도 버전) (0) | 2016.01.18 |
[펌] 쿠퍼메시지 : 퍼실리테이터와 라포 형성(Rapport Building of Facilitator) (0) | 2016.01.16 |
[펌] 쿠퍼메시지 : Make Facilitative Space (0) | 2016.01.14 |
[펌] 쿠퍼메시지 : 퍼실리테이션에서의 변화(variation) (0) | 2016.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