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백과 7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의 이색 정의

퍼실리테이션을 한 마디로 쉽게 설명해 달라는 주문을 받을 때가 많다. 퍼실리테이션은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경험해 보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말로 설명하여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 데는 어려움 면이 있다. 이는 이국에서 보고온 어떤 동물이나 식물을 그림없이 말로만 설명해야 하는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 하지만 퍼실리테이터가 퍼실리테이션을 쉽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도 우스꽝스런 일이므로 늘 고심하고 그 방법과 표현을 개선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1. "다름이 다툼의 이유가 아닌 도움의 이유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양한 의견은 서로 갈등을 초래하여 다툼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퍼실리테이션은 이 다름이 서로 도움이 되고 시너지가 되도록 하는 기술이라는 의미이다. 줄여 말하면, "다름을 도움으로..."가 된다...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션과 유사 퍼실리테이션의 구분

최근 들어 퍼실리테이션이 새로운 각광을 받게 되면서 소통의 기술인 퍼실리테이션이 널리 알려지고 활용되기 시작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확산에 편승하여 이름만 배껴 쓴 유사 퍼실리테이션 또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어 퍼실리테이션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 퍼실리테이션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그래서 필요한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해야 그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그 유용한 상황에서 조차 실제 퍼실리테이션을 행하지 못하고 유사 퍼실리테이션을 수행하여 일을 그릇치는 일은 우리에게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이에 관하여 정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글을 올린다. 1. 퍼실리테이터의 믿음 퍼실리테이션은 리더 또는 전문가가 아닌 참여자 또는 구성원이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은 ‘일을 쉽게 하도록 도와주다’ 라는 의미입니다. 퍼실리테이션은 회의나 교육 등에 참석자들이 좀 더 쉽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뜻합니다. 즉,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참석자들이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과정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퍼실리테이터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첫째, 퍼실리테이터는 회의 설계자입니다. 우선 훌륭한 설계자처럼 회의가 끝났을 때 어떤 결과가 도출되어야 하는지 머릿속에 선명하게 그립니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어떤 참석자들이 초대되어야 하는지 한 명 한 명을 마치 영화 출연자를 캐스팅하듯이 신중하게 리스트업(list up) 합니다. 한 명이라도 목적의식 없는 참..

[펌] [오픈백과] CF(인증퍼실리테이터) 쉽게 따기

CF(인증퍼실리테이터, Certified Facilitator), CPF(인증전문퍼실리테이터,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는 21세기의 주목받은 자격증이다. 오늘날 사회의 다양성이 높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매우 복잡해졌다. 따라서 단독으로 한 사람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여러 이해관계인들이 한 데 모아 문제를 풀어나가야 하는 경우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사람들이 더불어 어떤 일을 할 때 퍼실리테이션은 일을 쉽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퍼실이테이션은 상대를 이기거나, 양보와 타협으로 물러서게 하는 기술이 아니다. 서로 적극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와 이익을 주장하면서도 합의에 도달하게 하는, ..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는 회의 또는 워크숍과 같이 여러 사람이 일정한 목적를 가지고 함께 일을 할 때 효과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도록 일의 과정을 설계하고 참여를 유도하여 질 높은 결과물 만들어내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 사람들은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장소에서 홀로 일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때로는 여럿이 일정한 장소에 함께 모여 일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회의나 워크숍이 그러한 경우이다. 아이디어를 창출할 때, 문제를 파악할 때, 문제를 해결할 때, 전략을 개발할 때, 비전을 만들 때, 조직의 상황을 공유할 때, 조직문화를 탐색할 때, 합의에 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때, 팀워크를 형성할 때, 사업 계획을 개발할 때, 과제를 찾아낼 때, 실천 계획을 작성할 때 등은 일..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와 중립성

퍼실리테이션의 특징을 한 단어로 말한다면 중립성을 든다. 퍼실리테이션을 다른 전문영역과 방법적 특징을 구분짓는 가장 중요한 단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활동이 퍼실리테이션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핵심 또한 중립성이 될 수밖에 없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상대하면서 어떤 개선을 시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칭찬을 하기도 하고, 야단을 치기도 하고, 가르치기도 하고, 상담을 하거나 조언을 하기도 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주로 질문을 던진다. 유도하는 질문이 아니라 중립의 자세로 정말 상대방에게 묻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퍼실리테이터는 그룹을 대상으로 개입하기 때문에 그 질문에 어떤 대답을 들으면 그 한 참여자의 대답에 찬성하거나 반대하지 않고 중립적으로 잘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른 참여자의 마..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의 태도

퍼실리테이션을 배우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회의를 잘 하게 하는 어떤 '기법이나 도구를 다루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그 기법과 도구를 다루는 법을 배우는 것으로 퍼실리테이션이 성공을 거두기는 어렵다. 오히려 도구에 사람을 맞추려다 보니 참여자가 불편해 하고 그 결과 회의의 목적을 제댜로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허다하다. 아이스브레이킹, 브레인스토밍, 분류, 포스트잇, 멀티보팅, 페이오프 매트릭스, 차트, 프리젠테이션 이 모든 도구 또는 기법들은 회의의 목적을 쉽게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돕는 수단이며 방법이다.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회의를 성공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그 회의를 참여하는 사람을 알고 회의의 목적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이를 향한 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