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의 탐색 6

[참고] 조하리의 창의 57개 형용사

able : 재능있는ambivert : 양향 성격자 (양향성격자는 내향적인 성격과 외향적인 성격을 모두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한다.)accepting : 솔직한adaptable :융통성 있는bold : 용기 있는calm : 차분한caring : 친절함 상냥함cheerful: 유쾌한clever : 영리한congenial : 마음에 맞는 , 취미가 같은complex : 까다로운confident : 자신감 있는 , 대담함,배짱있는dependable : 믿음직한dignified : 품위있는energetic : 활동적인extrovert : 외향적인 사교적인friendly : 우정어린giving : 마음이 넓은happy : 행복한helpful : 도움이 되는idealistic : 이상주의 , 이상가independen..

'도움'의 탐색 2016.06.27

사랑에 빠지는 방법 : 45분 안에 사랑을 꽃피울 수 있는 36가지 질문들

How To Fall in Love: 36 Questions That Can Make Love Blossom in 45 Minutes 사랑에 빠지는 방법 : 45분 안에 사랑을 꽃피울 수 있는 36가지 질문들 이 질문은 맨디 렌이라는 사람이 뉴욕타임스 기고하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뉴욕 심리학자이자 교수인 Arthur Aron 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으로 상대방에게 아래와 같은 36가지 질문을 하게 함으로써 약 30%의 실험 참가자가 친밀감을 형성하고 애착관계를 만들어 가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맨디 렌은 논문을 읽고 실제로 자신의 배우자와 서로 이 질문들을 주고 받은 결과, 다시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관련논문 원본 : http://m.psp.sagepub.com/conten..

'도움'의 탐색 2016.03.11

[공유] 조하리의 창(Johari’s window) 이론

4개의 창으로 상대방과의 관계를 가늠한다조하리의 창 이론똑같은 세상이라 하더라도 우리가 어떤 프레임(frame)을 가지고 세상을 보는가에 따라 세상은 매우 다르게 보인다. 두 손가락을 원 모양으로 해서 세상을 보는 경우와 카메라로 세상을 보는 경우에 따라 세상은 늘 달리 보인다. 또 파란 안경을 끼는 경우와 노란 안경을 끼는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가 우울할 때와 즐거울 때도 세상은 달리 보인다. 이처럼 프레임은 한마디로 세상을 보는 하나의 창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침대에 누워 천장에 있는 파리의 움직임을 관찰하다가 아이디어를 얻어 x, y 좌표 체계를 만들었다. 어떤 공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그으면 네 가지 공간이 나온다. 분면, 분면, 분면,..

'도움'의 탐색 2016.03.07

태상 하지유지(太上 下知有之)

도덕경 17장에서 노자는 최고의 지도자를 바로 하지유지(下知有之) 즉, 아랫 사람들은 그가 있다는 사실 밖에는 모르는 경지에 이른 사람으로 언급하고 있다. 가장 훌륭한 것은 "다스림 받음을 모르게" 다스리는 것이라는 말이다. 흔히들 알고 있는 현실적인 최고의 지도자는 솔선수범과 덕망으로 칭송과 존경을 받는 지도자가 되겠지만 노자는 이를 두 번째로 치부하고 있다. 太上 下知有之 (태상 하지유지) 其次 親而譽之 (기차 친이예지) 其次 畏之 (기차 외지) 其次 侮之 (기차 모지) 百姓皆謂我自然 (백성개위아자연)최고의 리더는 사람들이 그가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 그 다음 리더는 사람들이 그를 칭찬하고 존경한다. 그다음 리더는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그 다음 리더는 사람들이 그를 업신여긴다. 최고의 리더가 일..

'도움'의 탐색 2016.01.28

[메모] 소통이 잘되는 조직과 리더의 필수 역량은?

[주제] 소통이 잘되는 조직과 리더의 필수 역량은? - 공감능력(서로 무엇을 원하고 느끼는지 충분히 헤아리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X) 이슈#1) 공감만으로는 소통을 완성할수 없음. 허나 많은 사람이 '공감=소통'으로 착각. 그럼 뭐가 더 필요? - "반영(상대가 원하고 느끼는 것을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력있게 고려함)"이 되어야 소통이 완성됨. 즉, "소통=반영"이 더 적절한 표현! 공감은 반영의 전 단계임. 이슈#2) 혹자는 공감능력은 성인이 후천적 훈련으로 개발하는것이 불가능하며, 선천적(유년교육은 유효) 능력이라고까지 단언하기도 함. 그럼 공감력이 부족한 성인은 아무런 기회가 없는거? - 공감이 선행되면 좋겠지만, 다행히도 공감없이도 반영은 가능('네가 말하는 걸 온전히 이해하긴 어렵지만, 원..

'도움'의 탐색 2016.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