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실리테이션을 배우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회의를 잘 하게 하는 어떤 '기법이나 도구를 다루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그 기법과 도구를 다루는 법을 배우는 것으로 퍼실리테이션이 성공을 거두기는 어렵다. 오히려 도구에 사람을 맞추려다 보니 참여자가 불편해 하고 그 결과 회의의 목적을 제댜로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허다하다.
아이스브레이킹, 브레인스토밍, 분류, 포스트잇, 멀티보팅, 페이오프 매트릭스, 차트, 프리젠테이션 이 모든 도구 또는 기법들은 회의의 목적을 쉽게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돕는 수단이며 방법이다.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회의를 성공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그 회의를 참여하는 사람을 알고 회의의 목적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이를 향한 퍼실리테이터의 태도가 올바르지 못할 때 퍼실리테이션은 고작 장식에 불과한 것이 되고 만다.
1. 모든 아이디어는 동등하게 귀중하다.
퍼실리테이션의 전제는 바로 이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믿음은 바로 중립의 원천이 된다. 퍼실리테이터의 중립은 퍼실리테이터라고 불리우는 사람이 진짜 퍼실리테이터인지 무늬만 퍼실리테이터인지를 가르는 명백하고 절대적인 기준이다.
중립성이란 바로 아이디어가 사장의 것이든 사원의 것이든, 선배의 것이든 후배의 것이든, 부자의 것이든 가난한 사람의 것이든 상관없이 동등하게 귀중하게 다루는 것을 말한다. 퍼실리테이터가 그런 태도를 가지지 못한다면 퍼실리테이션은 성립조차 불가능하다.
2. 나는 위대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위대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또 그 것을 증명해 보이려고 한다. 사람들이 어떤 주장을 할 때 그 것은 자신의 주장이 매우 합리적이며 훌륭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나는 위대한 사람이다'라는 점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싶어하는 심리적 동인이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일찌기 심리학자 아들러가 말한 '우월성에 대한 열망(striving for superiority)'은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성공하고 싶은 욕망을 정확하게 지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퍼실리테이터는 이러한 구성원의 열망을 인정하는 태도를 지닐 때 비로소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3. 그 말은 하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회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면, 어떤 사람이 어떤 주장을 할 때 그 진의에 대하여 귀기울여 들으려 하기 보다는 그 사람이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그런 주장을 하는 것으로 예단하고 그 말에 바로 반박을 가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는 점을 관찰할 수 있다.
퍼실리테이터는 참여자의 이기적인 주장을 기본적으로 인정하고 참여자 각각의 주장이 궁극적으로 전체의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는 점을 바라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것에 대하여 참여자 전체가 공감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퍼실리테이션을 하면서 어떤 도구를 적용하였을 때 잘 진행되지 않았다면 두 가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칼을 쓸 곳에 가위를 쓴 것인지, 사람보다 도구를 우선한 것인지이다. 전자는 도구 선택의 문제이고 후자는 퍼실리테이터의 태도에 관한 문제이다.
위 세 가지 외에도 퍼실리테이터가 가져야 하는 태도가 여러가지 더 있을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세 가지만 나열해 보았다.
- 참여자의 모든 아이디어를 동등하게 바라보는태도
- 저마다 위대하다고 말하는 것을 인정하는 태도
- 참여자가 어떤 주장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등이 그것이다.
퍼실리테이터는 도구를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사람으로 머물러서는 안된다.
참여자의 내면에 흐르는 욕망을 이해하고 그것을 인정하고 그것으로부터 궁극적으로 전체가 합의를 이루어내도록 돕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부엌의 칼은 매우 중요하고 꼭 필요한 도구이다.
그것은 제대로 쓰면 맛있는 요리를 만들고, 잘 못 쓰면 손을 벤다.
국제공인퍼실리테이터
구기욱 CPF
'퍼실리테이션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0) | 2016.01.03 |
---|---|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와 중립성 (0) | 2016.01.03 |
[펌] 쿠퍼메시지 011호 : 퍼실리테이터와 중립성 (0) | 2016.01.03 |
[펌] 쿠퍼메시지 009호 : 자료를 인식하는 지혜를 가져라 (0) | 2016.01.03 |
[펌] 퍼실리테이션과 유사 퍼실리테이션 (0) | 2016.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