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은 ‘일을 쉽게 하도록 도와주다’ 라는 의미입니다.
퍼실리테이션은 회의나 교육 등에 참석자들이 좀 더 쉽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뜻합니다. 즉,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참석자들이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과정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퍼실리테이터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첫째, 퍼실리테이터는 회의 설계자입니다.
우선 훌륭한 설계자처럼 회의가 끝났을 때 어떤 결과가 도출되어야 하는지 머릿속에 선명하게 그립니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어떤 참석자들이 초대되어야 하는지 한 명 한 명을 마치 영화 출연자를 캐스팅하듯이 신중하게 리스트업(list up) 합니다. 한 명이라도 목적의식 없는 참석자가 회의에 참석하게 되면, 전체 분위기를 갉아먹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회의 참석자가 선정되면, 어떤 방법으로 회의를 진행할지 회의 진행계획을 세웁니다. 회의를 시작할 때 어떻게 분위기를 편안하게 만들지, 회의 의제와 참석자들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어떤 방식으로 토의를 진행하고, 어떤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이끌어 낼지 구체적인 회의 기법을 고민하는 이 단계는 다양한 회의기법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일입니다.
이렇게 설계된 회의 계획서는 회의도중 발생할지도 모를 돌발상황을 고려해서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합니다.
퍼실리테이터의 두 번째 역할은 모든 탑승객들이 비행기에 탔는지 확인하고, 변화무쌍한 기상환경을 예의주시하면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승객들을 모시는 파일럿입니다.
퍼실리테이터는 회의를 시작하면서 모든 참석자들이 회의안건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고, 중간중간 돌발상황을 헤쳐나가면서도 회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궤도를 수정해 가며 회의를 진행합니다. 가끔 비상사태가 벌어져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항로를 우회하거나, 비상착륙 시키는 것처럼, 퍼실리테이터도 회의 목적을 위해 회의를 연장하거나, 비상 종료 시킴으로써 회의 참석자들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퍼실리테이터의 세 번째 역할은 소통을 촉진하는 지휘자입니다.
다양한 악기로부터 아름다운 화음을 이끌어내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다양한 참석자들에게 귀 기울이고 상호 소통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퍼실리테이터는 참석자들의 다양한 의견에 열린 자세로 귀 기울이고, 모든 사람의 의견을 기록하고 연결하며 단절되는 소통을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퍼실리테이터는 말하기 보다는 듣고, 지시하기 보다는 질문하며, 참석자들의 생각이 모두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기록하고 요약해서 제시해주는 등 적극적인 지휘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회의 지휘자가 다른 참석자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보면서, 다른 참석자들도 서로의 의견에 귀 기울이게 됩니다. 오케스트라 연주자들이 다른 연주자들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화음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말이죠.

'퍼실리테이션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의 이색 정의 (2) | 2016.01.03 |
---|---|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션과 유사 퍼실리테이션의 구분 (0) | 2016.01.03 |
[펌] [오픈백과] CF(인증퍼실리테이터) 쉽게 따기 (0) | 2016.01.03 |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0) | 2016.01.03 |
[펌] [오픈백과] 퍼실리테이터와 중립성 (0) | 2016.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