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실리테이션 학습

퍼실리테이션 역량목록(2016년)

더디맨 2016. 3. 10. 17:07

간만에 퍼실리테이션협회 사이트를 방문해 보니
퍼실리테이션 역량 목록이 조금 수정되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반적인 흐름이나 내용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약간의 변화는 감지되는 듯하다.

현 시점에서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되짚어 보고,
변화된 사항들은 나름 분석해 본다.

 주요 변경사항 및 분석 

1. 'I. 퍼실리테이션의 기본 환경 이해' 부분의 4개항은 가장 기초적인 사항이라는 인식 하에 제외됨.

2. 'Ⅱ. 고객의 이해와 협력적 관계 형성'은 기존과 대동소이함.
     단, '고객이 미처 알아채지 못한 이슈'라는 용어가 삭제되고 좀 더 고객지향적으로 표현이 수정됨.

3. 'Ⅶ. 전문가로서의 윤리와 태도' 부분은 '전문가로서의 능력와 태도'로 변경하여 지적능력 측면을 확대, 강조함.

4. 그 외 Ⅲ, Ⅳ, Ⅴ, Ⅵ에 해당되는 항목들은 계획수립, 진행, 결과도출의 3단계로 재편하였고,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표현들로 변경됨.

주) 이 부분은 본인의 지극히 주관적이고 개인적 분석 및 의견임을 밝혀 둡니다.

 고객의 이해와 협력관계 형성

     1. 고객과 파트너십을 형성한다.
          ▶고객과 퍼실리테이터의 상호의지(하고자 하는 바) 확인 
          ▶워크숍의 내용, 결과물, 역할, 책임에 대한 합의 
     2. 고객의 환경과 요구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고객의 요구를 진단하고 조직의 환경을 분석 
          ▶고객의 특별한 요청에 맞는 고유의 절차 설계 

 적절한 진행 계획의 수립

     1. 고객에 맞는 방법과 진행절차를 선택한다.
          ▶고객의 문화, 규범 등 특성을 이해 
          ▶다양한 지식과 사고를 가진 사람들의 참여 장려 
     2. 진행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과 공간을 확보한다.
          ▶회의의 목적에 맞는 물리적 공간 확보 
          ▶효과적인 시간 활용 계획 수립 

 참여 환경의 조성과 유지

     1. 효과적인 참여가 되도록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적용한다.
          ▶적극적인 경청 및 참여자와 신뢰 형성 
          ▶초점을 모으는 질문으로 집단의 효과적 참여를 도움 
     2.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방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참여를 보장한다.
          ▶그룹의 다양성으로부터 유용한 결과를 얻도록 노력 
          ▶불이익에 대한 우려 없는 안전한 발언 환경을 조성 
     3. 그룹 내 갈등을 관리하여 합의에 이르게 한다.
          ▶집단이 갈등에서 합의로 이르게 하는 효과적인 기술 보유 
          ▶개인의 잠재된 의도와 가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 
     4. 그룹의 에너지를 돋우고 창의적 사고를 장려한다.
          ▶집단 에너지를 움직이는 다양한 기법과 도구의 이해와 적용 
          ▶다양한 아이디어의 발산과 창의적인 사고를 장려 

 적절하고 유용한 결과 도출

     1. 적절한 방법과 절차로 정확하게 진행한다.
          ▶경청, 질문, 요약을 통해 그룹의 이해와 공감 도출 
          ▶빗나가는 경향을 예방·감지하고 예정된 과정으로 유도 
     2. 그룹이 목적을 항상 인식하도록 지원한다.
          ▶그룹의 필요에 따라 활동의 속도를 조절 
          ▶그룹이 목적에 맞는 정보를 스스로 찾아내도록 유도 
     3. 그룹이 합의를 이루고 기대한 결과를 달성하도록 지원한다.
          ▶전체 합의에 도달하게 하는 다양한 접근방법 사용 
          ▶그룹의 변화하는 상황과 요구에 맞은 절차 적용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태도

     1. 경영, 조직개발, 집단심리, 학습이론 등 기반지식을 갖춘다.
          ▶경영, 집단기법, 학습과 사고, 갈등해결에 관한 지식 보유 
          ▶변화의 원리와 역동성에 대한 이해 
     2. 다양한 퍼실리테이션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다양한 기법과 의사결정 모델에 대한 이해와 적용 
          ▶경험과 학습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 
     3. 전문가로서 지속적으로 자기개발을 한다.
          ▶연구와 학습에 지속적으로 참여 
          ▶새로운 기법과 지식의 적용과 자기 성찰 
     4. 신뢰받는 전문가로서의 자세와 품위를 유지한다.
          ▶집단에 대한 신뢰와 그 가능성에 대한 인정 
          ▶객관적, 비방어적, 비판단적, 중립적 태도를 견지 

출처 : 한국퍼실리테이션협회  http://www.facilitator.or.kr/facilitation/abilit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