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실리테이션 학습

퍼실리테이터의 역량 목록 (2015년도 버전)

더디맨 2016. 1. 18. 22:08

퍼실리테이터의 역량 목록으로서 7개 영역 3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CF(Certified Facilitator) 및 CPF(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 인증심사에서 평가하는 주요 역량이다.


I. 퍼실리테이션의 기본 환경 이해

  1. 퍼실리테이션이 잘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안다.
  2. 퍼실리테이션과 관련된 기본 용어를 이해한다.
  3. 퍼실리테이션과 다른 전문영역의 차이를 이해한다.
  4. 집단 활동과 연관되는 이해관계자를 파악할 수 있다.
  5. 인간의 사회적 욕구와 소통 방식의 기초를 안다.
     

II. 고객의 이해와 협력적 관계 형성

  1. 고객이 요구하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확인할 줄 안다.
  2. 고객이 미처 알아채지 못한 이슈를 찾아내어 협의할 줄 안다.
  3. 집단 활동(위크숍)의 목적과 결과물을 명확히 합의한다.
  4. 고객과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여 목적 달성을 돕는다.

III. 다양한 가능성의 도출

  1. 안전한 발언 환경을 조성한다.
  2. 다양한 의견을 환영하고 다름의 가치를 존중한다.
  3. 그룹의 에너지를 돋우고 창의적 사고를 장려한다.
  4. 경청과 질문을 통하여 숨겨진 이슈와 사고를 표면화한다.

IV. 가능성의 평가와 갈등의 해결

  1. 드러낸 가능성을 목적에 맞게 활용하도록 안내한다.
  2. 개인의 잠재된 의도와 가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경합하는 아이디어의 합리적인 평가를 지원한다.
  4. 상황에 맞는 방법을 제시하여 갈등을 효율적으로 해결한다.

V. 합의에 의한 집단의사결정 지원

  1. 다양한 의사결정 모델을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적용한다.
  2. 집단사고로 흐르는 경향을 감지하고 이를 방지한다.
  3. 전체가 합의에 도달하는 다양한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4. 결정에 대하여 모든 참여자가 주인의식을 갖도록 지원한다.

VI. 효과적인 설계와 진행기법의 보유

  1. 집단이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과정을 설계한다.
  2. 장소와 시간을 진단하여 상황에 맞게 대응하고 조정한다.
  3. 그룹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절차를 수행한다.
  4. 참여의 에너지를 확인하고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VII. 전문가로서의 윤리와 태도

  1. 경영, 조직개발, 집단심리, 학습이론 등 기반 지식을 갖춘다.
  2. 전문가로서 지속적으로 자기개발을 한다.
  3. 집단을 신뢰하고 그 가능성을 인정한다.
  4. 객관적, 비방어적, 비판단적, 중립적 태도를 견지한다.
  5. 퍼실리테이터의 윤리와 철학을 알고 이를 지킨다.


출처 :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 http://www.facilitator.or.kr/facilitation/ability.html